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식 기본17

ETN 뜻, 장점 및 단점, 인기 상품 총정리 ETF에 대해서는 많이 알고 계신데, ETN에 대해서는 처음 들어보시거나 생소하신 분들이 계셔서 ETN 뜻, 장점 및 단점에 대해 알려드리고, 인기 ETN 상품도 알려드리겠습니다. ETN 뜻 ETN(Exchange Traded Note)은 상장지수증권으로, 증권사가 자기 신용에 기반하여 발행한 파생결합상품입니다. ETN은 ETF와 비슷하게, 기본적으로 추종하는 지수의 변화에 따라 수익률이 연동되는 지수 추종 수익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ETN이 추종하는 지수에는 금, 은, 원유와 같은 원자재들도 있고, 채권, 통화, 선물, 옵션 등을 활용한 지수도 있습니다. ETN의 대표적인 특징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발행 주체: 증권사 구성종목수: 5 종목 이상 만기: 만기가 존재하며 1년 이상 20년 이내임 수.. 2024. 3. 12.
퀀트 투자 뜻과 3가지 장점 및 단점 총정리 주식 투자를 하시다 보면 투자 방법에 대해 공부하게 되고 수많은 투자 방법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그중에서도 퀀트 투자는 중요하고 반드시 알아야 하는 투자 방법입니다. 퀀트 투자 뜻과 3가지 장점 및 단점에 대해서 총정리해 드리겠습니다. 퀀트 투자 뜻 퀀트 투자는 영어 Quantitative Investment에서 유래한 말입니다. 영어 단어 앞 5개의 알파벳 Quant를 그대로 한글로 발음하여 퀀트 투자로 부르고 있습니다. Investment는 투자라는 뜻이니 Quantitative가 무슨 뜻인지 사전적 의미를 먼저 살펴보겠습니다. 옥스퍼드 영한사전은 Quantitative의 뜻을 간단히 '양적인'이라는 형용사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퀀트 투자의 뜻을 좀 더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양적인'라는 .. 2024. 3. 11.
매파 비둘기파 뜻과 유래 완벽 정리 매파 비둘기파 뜻과 유래에 대해 완벽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경제 신문을 읽다 보면 매파 비둘기파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어렴풋이 알고는 있지만 명확하게 이해하지 못하신 분들을 위해서 뜻과 유래를 알려드리고, 이 두 단어가 갖는 경제적 의미를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매파 비둘기파 뜻과 유래 매파와 비둘기파는 원래 경제적으로 사용하던 용어는 아니고 정치적인 용어였습니다. 1798년 미국의 제3대 대통령이던 토마스 제퍼슨이 처음으로 사용한 말이었는데, 이 말이 유행하게 된 건 베트남 전쟁 때부터입니다. 베트남 전쟁 당시 미국은 고전하고 있었고, 이때 미국의 정치권에서는 두 가지 입장이 있었습니다. 하나는 전쟁을 확대하고 계속해야 한다고 주장하던 강경파이고, 다른 하나는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고, 평화 협상.. 2024. 3. 10.
레버리지 투자 뜻, 3가지 장점 및 단점 레버리지 투자 뜻 및 3가지 장점 및 단점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레버리지 투자 뜻 레버리지(Leverage)는 지렛대입니다. 지렛대는 무거운 것을 들어 올릴 때 사용하는 도구입니다. 지렛대의 원리라고 많이 들어보셨을겁니다. 지렛대의 원리는 지렛대를 이용해서 적은 힘으로 무거운 것을 들어 올리는 원리입니다. 이 원리를 우리는 레버리지라고 부르고, 이 원리를 투자에 접목한 것이 레버리지 투자입니다. 즉, 레버리지 투자란 투자자가 자신의 자본보다 더 큰 규모의 자산을 투자하기 위해 차입금 등을 이용하는 투자 방식을 의미합니다. 이 방식을 통해 투자자는 자신의 실제 자본보다 더 큰 수익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High Risk High Return).. 2024. 3. 6.
유상증자 무상증자 차이 유상증자 무상증자 차이에 대해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이 두 개념의 차이점을 알려면 먼저 유상증자와 무상증자의 개념부터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합니다. 기업의 일반적인 존재 목적은 이익 창출입니다. 기업 활동을 통해서 벌어들인 수익을 주주, 종업원, 사회에 환원하는 것이 기업의 책임이자 존재 목적이며, 지속적으로 기업 활동을 하기 위해서 기업은 꾸준히 수익을 창출해야 합니다. 기업이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자본이 필요합니다. 자본이 있어야 시설 투자를 하고, 연구 개발을 할 수 있으며, 마케팅 활동을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은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는 방법, 주식을 발행하는 방법, 채권을 발행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증자도 기업이.. 2024. 3. 5.
보통주, 우선주, 후배주, 혼합주 뜻과 특징 보통주, 우선주, 후배주, 혼합주 뜻과 특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앞서 포스팅한 PER 및 PBR과 더불어 주식 투자를 하는 데 있어서 반드시 알아야 하는 기본 용어이므로 끝까지 읽어보시고 개념을 정확히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보통주 보통주는 회사의 소유권을 나타내는 주식으로 주주가 회사의 경영에 참여하고, 이익을 배분받을 권리를 가지고 있는 주식을 의미합니다. 보통주에는 여러가지 특징이 있는데, 주요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투표권 보통주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투표권 부여입니다. 보통주 주주는 주주총회에서 투표를 통해 회사의 중요한 결정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회사의 중요한 결정은 경영진 선출, 회사 정책 승인 등이 있습니다. 2) 배당권 보통주 주주는 회사의 이익을 배당 형태로 받을 권리를.. 2024. 3. 4.
PBR 뜻과 활용법 완벽 정리 PBR은 PER과 더불어 주식 투자를 시작하시는 분들이 정확히 알고 계셔야 하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따라서, PBR 뜻과 활용법에 대해서 이해하기 쉽게 알려드리고, 투자 시 주의할 사항에 대해서도 말씀드리겠습니다. 이 글을 정독하시면 PBR에 대해서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고, 주식 투자를 할 때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알게 되실 겁니다. PBR 뜻 PBR은 'Price-to-Book Ratio'의 줄임말로 국내에서는 '주가순자산비율'을 나타냅니다. 미국에서는 P/B로 표기하니, 미국 주식에 투자하시는 분들은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주가순자산비율은 말 그대로, 기업의 주가가 기업의 순자산 가치에 비해 어떻게 평가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BR을 구하는 계산 방식을 보면 좀 더 이해가 쉬우실.. 2024. 2. 27.
PER 개념 및 활용법 완벽 정리 주식 투자에 관심 있으신 분들은 PER에 대해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그런데, 의외로 이 용어의 개념에 대해 정확히 어떤 개념이고,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아서 자세히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개념 정리 뿐만이 아니라, 성공적인 투자를 위한 올바른 활용법과 투자 대가들의 명언까지 자세히 알려드리고자 하니, 이 글을 끝까지 정독하시면 개념과 활용법에 대해 정확히 이해할 수 있으실 겁니다. PER 개념 PER은 Price-Earning Ratio의 줄임말이며, 국내에서는 주가수익비율이라고 합니다. 참고로 미국 주식에 투자하시는 분들은 미국에서는 P/E로 표시한다는 것을 알고 계시기 바랍니다. PER(주가수익비율)은 용어에서 알 수 있듯이, 해당 기업의 현재 주가를 한 주당 이익으로 나눈 .. 2024. 2. 26.
반응형